여행 역사

역사 [편집]
문명이 형성되고 항해술과 상업의 발달로 다양한 문명, 국가 간에 느슨한 연결이 된 시기부터 존재해 왔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미 고대부터 각지의 유적과 명승, 절경 등에 관한 일종의 지리서 겸 관광가이드가 존재하며 이를 보려고 찾아다니는 사람도 있었다.
여유 있는 개인의 여흥 거리에 불과했던 관광이 오늘의 산업의 관점에서 받아들여진 것은 18~19세기 유럽에서 시작됐다.[1]산업 혁명 이후 통신과 교통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2]대규모 투자를 행할 수 있는 금융 자본의 등장, 아프리카와 아시아, 미국 각지에 널리 퍼진 제국 주의의 시류 등과 맞물려서, 1850년대쯤 되면 유럽은 물론 식민지 곳 곳에 호텔과 리조트[3]이 쏟아졌다.
영국 부유층 자제들의 견문 확장 유럽일주여행인 그랜드투어(Grand tour)가 등장한 것도 이때인데, 이 시기에 그랜드투어는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이를 전문으로 하는 여행사도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제국주의자들이 온 세상을 시끄럽게 하고, 좋은 곳만 찾으면 호텔과 리조트를 개발해 이곳에 영국의 투기자본이 모여 몇 달째 그 소식을 듣고는 온갖 장사꾼들이 관광지로 몰려드는 수순이 계속되자 이에 질색해 별로 개발된 일손을 태우지 않는 곳을 찾아다니는 사람들이 생겨났을 정도다.

21세기 들어 많은 사람들은 여가 시간 및 비경제 활동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대해서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학자들은 개인이 여가시간을 어떻게 사용하고 여가시간을 활용함으로써 개인은 물론 가족구성원에게는 어떤 효능감을 주고 여가시간에 집중하게 되는 여행이나 휴가에 어느 정도의 시간과 금전적 소비가 할당되어 있는지에 대한 연구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여가 시간에 임의의 장소나 목적지역을 방문하는 관광에 대해 개인은 물론 국가적으로 정책적으로도 중요성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세계 관광 기관은<관광 비전 2020의>의 장기 전망을 통해서 전 세계의 국제 관광객 수는 1995년 5억 6천만명에서 2010년 10억명, 2020년 15억 6천명으로 연평균 4.1%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세계 여행 관광 협의회(WTTC)은 2005년의 여행과 관광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6조 2010억달러에서 2015년이면 10조 6,780억달러로 추정했다. 이런 수치는 매년 여행과 관광 분야의 수요가 4.6%성장하는 것을 상정한 것으로 4.6%성장은 세계 대부분 나라의 경제 성장률을 능가하는 수치다. 또 WTTC는 관광으로 창출된 일자리 2억 1,400만개가 전체 일자리의 8.3%를 차지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그리고 2005년 개인 소비 금액 중 여행과 관광에 사용된 금액이 10.4%로, 이는 세계 자본 투자액과 같은 수치이며 세계 GDP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여행이 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개인으로서는 자유로운 생활을 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좋은 수단이며, 국가로서는 관광사업 개발을 통해 내수시장 활성화와 외화를 벌어 경제적 입지를 증대시켜 국가 이미지를 발전시키는 좋은 수단이기 때문이다. 이런 인식과 함께 교통과 인터넷의 발달로 여행이 편리해지면서 여행 수요는 급증하게 됐다.
전반적으로 일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경험을 하고 견문을 넓히고 인생의 의미를 깨닫는다는 식의 인식이 있으며, 이로 인해 꾸준한 인기가 있다. 한편에서는 여행에 대한 이러한 긍정적인 인식이 다소 과장되고 왜곡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여행회의론자들의 주장은 여행을 떠난다고 인생이 따로 바뀌는 게 아니라 관광객이 찾는 곳은 관광에 특화된 장소여서 견문을 넓혔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해당 지역에 대해 왜곡된 이미지를 형성할 뿐이라는 것이다. 이 정도는 아니더라도 항공사, 여행사, 여행 관련 도서 등의 마케팅을 위해 지나치게 긍정적인 측면만 부각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다.